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4

커피의 역사, 유래, 전파과정 커피는 7세기 이전부터 에티오피아의 고지대에서 자연적으로 자라난 것으로 보인다. 전설에 따르면 염소 목동 칼디(Kaldi)는 우연히 염소가 먹는 열매를 발견하고 그 열매를 마을로 가져왔고, 커피의 효과를 이용해 마을의 종교 수행자들을 도왔다고 한다. 그곳에서 커피는 이집트와 예멘으로 퍼져나갔다. 이집트와 예멘에서는 커피가 종교적인 의식에도 사용되었다. 커피는 15세기에 이르러 이미 페르시아, 터키, 북아프리카로 들어와 있었다. 커피에 대한 초기 반응은 별로 좋지 않았다. 1511년, 메카의 보수적인 이맘(아랍어로 '지도자', '모범이 되어야 할 것'을 의미)에 의해 신경 자극적인 성격 때문에 금지되었습니다. 그러나, 특히 그리스인들과 지식인들 사이에서 이 음료의 인기는 꺾이지 않았고, 결국 오스만 튀르크.. 2022. 10. 13.
커피(Coffee)의 어원, 재배지역, 카페인 함량 한국인의 커피사랑은 전세계적으로도 남다르다. 이는 한국 평균 커피소비량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한국 성인의 1인당 연평균 커피 소비량은 353잔에 달한다. 전 세계 1인 평균 소비량인 132잔보다 무려 2.7배 높다. 커피가 뭐길래 이렇게 열광하는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먼저 커피(Coffee)는 커피콩(커피 나무 열매의 씨)을 볶아 가루로 만든 것을 따뜻한 물, 차가운 물 또는 스팀으로 우려낸, 쓴맛의 짙은 갈색 음료이다. [어원] "커피"라는 단어는 커피가 유래한 에티오피아 남서부의 "카파"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아랍어 이름 "까후와"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아랍어로 까후와(Kahuwa)는 '배고픔을 줄인다'는 뜻의 '카히야(Kahya)'의 변형으로 원래는 와인의 종류를.. 2022. 10. 12.
이탈리아 요리(음료_커피, 술) [커피] 이탈리아 커피(카페, 이탈리아어)는 흔히 에스프레소로 대표할 수 는데, 세계적으로도 이탈리아 커피하면 에스프레소로도 통용된다. 에스프레소를 만드는 커피는 보통 진한 검정색 원두를 사용한다. 이탈리아 내부적으로는 북쪽으로 갈수록 색이 옅어지고, 남쪽으로 갈수록 커피콩의 색이 짙어진다. 최근에는 이탈리아에서 소비되는 커피의 대부분이 브라질산이며, 다른 지역의 커피를 혼합(블렌딩)하여 사용한다. 커피는 보통 작은 커피잔에 담겨 나오며, 카페 마키아토는 우유로 토핑된다. 리스트레토는 전형적인 이탈리아 커피로 물이 적게 들어있어 맛이 진하다. 카푸치노는 위에 우유를 거품을 내면서 모양을 낼 수 있다. 카푸치노는 보통 아침에 많이 먹고, 에스프레소는 보통 아침 식사 후에 마신다. [와인] 이탈리아는 와인을.. 2022. 10. 11.
이탈리아 요리 구성(시간대별, 코스요리) 이탈리아는 전형적인 유럽식 식사 구조를 가지고 있다. 아침, 점심, 저녁 그리고 점심과 저녁 사이에 있는 간식이 있다. 이탈리아 사람들은 다양한 식사 코스를 통해 축제 음식을 즐기곤 한다. 아침(콜라지오네_Colazione) 아침식사는 유럽에서 전통적으로 대륙식이고 콜라지오네(Colazione)라고 불리기 때문에 영국식이나 아일랜드식과는 다르다. 전통적인 이탈리아 아침 식사는 카페 라떼나 빵과 함께 즐긴다. 빵은 종종 프리마 콜라지오네(Prima Colazione)라고 불리는 종류의 잼으로 코팅된다. 또한 쿠키(Biscotti)를 흔하게 먹으며, 아이들은 우유나 핫초콜릿을 마시고 커피를 조금 마시기도 한다. 커피숍에서 아침을 먹는다면, 커피와 함께 크로와상 같은 빵을 먹는다. 미국 시리얼도 나날이 보편화.. 2022. 10. 10.